본문 바로가기
일본/일본 관련 소식

[일본 운전 면허증 ]일본 운전 면허증 종류 및 보통자동차 면허 취득 방법

by 아야오리(綾織り) 2024. 1. 27.
반응형

[일본 운전 면허증] 일본 운전 면허증 종류 및 보통자동차 면허 취득 방법

일본은 운전 면허증 발급 받는것이 쉽지 않다는 이야기가 있다. 일본 운전 면허증 종류 및 보통자동차 면허증을 취급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.

[일본 운전 면허증 종류]

일본 운전 면허증에는 많은 종류가 있지만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.

·제1종 운전면허

 제1종 운전면허증은 도로에서 자동차와 자동2륜차를 운전하기 위해 필요한 면허로 이하 10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.

대형자동차면허/중형자동차면허/준중형자동차면허/보통자동차면허/대형특수자동차면허/대형자동차2륜면허/보통자동차2륜면허/소형특수자동차면허/오토바이자동차면허/견인면허

·제2종 운전면허

제2종 운전면허증은 택시와 버스등 여객자동차를 영업 목적으로 여객운송을 하기 위해 운전을 할 경우 필요한 면허증이다. 이하 5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.

대형자동차 제2종 면허/중형자동차 제2종 면허/보통자동차 제2종면허/대형특수자동차 제2종 면허/견인 제2종 면허

제2종 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제2종 면허의 취득 기간이 보통 3년 이상이 되어야 한다.

 

[보통자동차 면허로 운전할 수 있는 차]

보통자동차 면허로 운전 할수 있는 차종은 보통자동차, 소형특수자동차, 원동기부착(오토바이) 자동차 등 3종류가 있다.

보통자동차 차량총중량 3.5톤 미만, 최대적재량 2톤 미만, 정원 10명 이하
소형특수자동차 전체길이 4.7m이하, 차폭 1.7m이하, 차높이 2.8m이하, 최대시속 15km이하(농업용은 최대 시속 35km미만)
오토바이 총배기량 50cc이하

 

 

[보통자동차 면허 취득 방법]

보통자동차 면허 취득 방법은 교습소를 통하는 방법과 일발(一發) 시험을 치르는 방법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.

일반 시험은 공정자동차교습소를 통하지 않고, 직접 운전면허시험장에서 자동차운전면허 시험을 취득하는 것을 나타낸다. 

보통자동차 면허증을 취득하는 경우에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 교습소를 다니는 것이다. 교습소에서는 도도부현 공안위원회가 지정한 교습소 「지정자동차교습소」와 도도부현 공안위원회에 신고를 한 교습소 「신고자동차교습소」 두 가지가 있다. 지정자동차교습소는 하루에 받을 수 있는 기능연습에 제한이 있는 등의 단점이 있으나,  기능연습이 다 끝난 후에는 기능검정이 면제되는 장점도 있다. 본시험에서는 적성검사와 학과시험에 합격을 한다면 면허 취득이 가능하다. 신고자동차교습소는 기능연습이 끝나더라도 기능검장이 면제 되지 않기 때문에, 본 시험에서는 적성검사·학교시험·기능검정 모두를 합격해야 한다. 반면에 하루에 받을 수 있는 기능연습에 제한이 없는 장점도 있다. 

 

[교습소에서 보통자동차면허를 취득하는 과정]

지정자동차교습소에서 보통자동차면허를 취득하는데까지의 과정은 아래와 같다.

1. 운전적성 검사를 받는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↓

2. 학과교습(제1단계), 기능교습(제1단계)을 받는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

3. 가(仮) 면허시험(학과 및 기능)에 합격하면 가면허를 교부받는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

4. 학과시험(제2단계), 기능시험(제2단계)을  받는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

5. 졸업검정(과정이 끝남음을 의미하는 것)을 받으면 졸업증명서를 교부받는다.

               

6. 본면허취득시험(적성 검사 및 학과)을 받는다.

               

7. 합격하면 보통자동차면허가 교부된다.

단, 교습소에 의한 과정이 다르게 되어있는 합격도 있으므로 사전에 잘 확인하여야 한다. 한 달 반에서 길게는 석 달 정도가 걸린다.

 

[일발(一發) 시험으로 취득하는 과정]

일발시험은 운전면허시험장에서 적성검사, 학과시험, 기능시험을 치러야 한다. 최단 7일 만에 면허를 취득할 수 있어 그것은 큰 장점이지만, 그만큼 합격에 대한 장벽이 높고, 교습소를 다녔던 사람과 비교하면 면허를 취득한 사람의 수가 매우 적다. 

1. 운전적성검사를 받는다.

             

2. 가면허시험(학과 및 기능)에 합격하면 가면허를 교부받는다.

             

3. 도로연습을 5회(5일간) 받는다.

             

4. 본 면허취득 시험(적성검사, 학과, 기능)을 받는다.

             

5. 취득시 강습 및 응급구호강습을 받는다.

             

6. 보통자동차면허가 발생된다.

5회의 도로연습에 총 5일(하루에 여러 번 연습을 하더라도 1회로 간주), 가면허시험 1일, 본면허취득시험 1일 총 7일이 걸린다. 

 

[보통자동차면서 취득에 드는 비용]

보통자동차면허의 취득비용은 연습소를 통할때와 일발시험을 받을 때와 다르다.

▶교습소를 통할 경우

  취득비용
교습소비 교습소 마다 다름(대략 최소 25만엔~33만엔)
학과시험(학습소 졸업자) 시험수수료 : 1750엔 교부수수료 : 2050엔

교습소를 통하여 취득할 때는 통학으로 자동차 면허를 취득하는 방법이 있고 합숙(교습소기숙사 또는 연계된 호텔)하여 면허증을 취득하는 방법이 있다.

 

▶일발시험을 받는 경우

  취득비용
가면허시험 수험료 : 2900엔 시험차사용료 : 1450엔 가면허증교부수수료 : 1150엔
본시험 수험료 : 2550엔 시험차사용료 : 800엔 면허증교부수수료 : 2050엔
본시험합격후 보통차강연료 : 11,200엔 응급구호처치강연료 : 4200엔

 

 

취득할 있는 방법은 우리나라의 운전면허와 비슷하지만, 세부적으로 보면 일본이 더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드는 것을 알 수 있다. 운전은 편리한 만큼 사고의 위험도 크기 때문에 면허 취득을 쉽게 허용하지 않는 거 같다. 어찌 보면 이러한 것들이 일본 교통사고율이 낮은 이유 중의 하나이지 않을까 생각한다. 

 

일본-운전-면허증-종류-및-보통자동차-면허-취득-방법
일본-운전-면허증-종류-및-보통자동차-면허-취득-방법

반응형